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설날은 가족들이 모여 조상을 기리고 풍성한 음식을 나누는 중요한 명절입니다. 설날 차례상은 단순히 음식을 차리는 행위가 아니라, 각 지역의 특산물과 전통,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이 담긴 하나의 작품과도 같습니다.

     

    차례상의 기본 원칙은 "어동육서", "좌포우혜", "조율이시", "홍동백서"라는 전통적인 배치 규칙을 따르며, 여기에 지역별 특색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서울·경기,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등 각 지역마다 차례상의 구성과 음식은 조금씩 다르며, 이러한 다양성은 우리 문화의 깊이를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날 지역별 상차림의 전통과 특징, 그리고 각 지역의 차례상에 올라가는 대표 음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례상을 준비할 때 고려해야 할 팁과 요령도 함께 제공하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설날 차례상을 통해 조상에 대한 예를 다하며, 풍성하고 의미 있는 명절을 만들어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서울·경기 지역 설날 상차림

    서울과 경기 지역은 전통적으로 대한민국의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가장 표준적인 차례상 차림의 형태를 보여줍니다.

    • 1열: 차례상에서 가장 윗줄은 지방(제사 때 조상의 이름을 적은 종이)을 놓는 자리입니다. 그 옆에 밥, 국, 그리고 떡국이 올라갑니다. 떡국은 설날 아침에 필수로 먹는 음식이자, 한 해를 건강히 시작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2열: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배치하는 어동육서 원칙을 따릅니다. 명태, 말린 통북어가 대표적이며, 이 지역에서는 간결하고 정갈한 생선 요리를 주로 사용합니다.
    • 3열: 국이나 탕 종류가 올라갑니다.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이 주로 차려지며, 각각의 재료는 조상님이 드시기에 편안한 부드러운 질감의 음식으로 구성됩니다.
    • 4열: 좌측에는 포(건어물),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 좌포우혜 원칙을 따릅니다. 말린 포나물과 함께 나물류도 이 줄에 배치됩니다.
    • 5열: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과일을 배열하며, 조율이시(대추, 밤, 배, 감)홍동백서(붉은색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경기의 설날 차례상은 정갈하고 전통적인 배치를 강조하며, 과하지 않은 음식 구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강원도 설날 상차림

    강원도는 산지가 많고 바다와 접해 있는 특성상 해산물과 함께 소박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차례상을 올립니다.

    • 1열: 지방, 밥, 국 등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떡 대신 감자떡 같은 지역 특산물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 2열: 명태전, 가자미, 데친 문어 등 소금으로 간을 맞춘 해산물 요리가 올라갑니다.
    • 3열: 강원도의 차례상은 국이나 탕 종류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으로, 생선탕 외에도 고기탕, 두부탕을 정성껏 준비합니다.
    • 4열: 포와 나물류는 지역 특산물로 구성되는데, 감자전, 고구마전과 같은 강원도의 대표 전 요리가 추가되는 점이 독특합니다.
    • 5열: 과일과 과자는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나, 강원도 특유의 건강한 느낌을 주는 자연산 과일이 추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원도의 상차림은 담백하고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한 음식으로 조화롭고 간결한 차례상을 구성합니다.

    충청도 설날 상차림

    충청도는 중부 지방으로서, 풍성한 차례상을 차리는 동시에 소박하고 실용적인 구성을 보여줍니다.

    • 1열: 지방, 밥, 국 등의 기본 배치는 전국적으로 동일하지만, 지역 내에서 생산되는 곡류와 곡식떡이 차별점입니다.
    • 2열: 대구포, 상어포, 피문어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해산물 요리가 주를 이루며, 어동육서 원칙을 따릅니다.
    • 3열: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의 탕류를 정성껏 올립니다.
    • 4열: 배추전과 버섯전 등 다양한 전 종류가 추가되며, 충청도의 차례상은 나물과 전 요리가 풍부한 점이 특징입니다.
    • 5열: 대추, 밤, 배, 감 등 과일은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정렬되지만, 지역에서 수확한 신선한 과일이 돋보입니다.

    충청도의 차례상은 소박하면서도 신선한 재료의 풍미를 살리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전라도 설날 상차림

    전라도는 대한민국의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지역으로, 설날 차례상도 다양하고 풍성하게 차려집니다.

    • 1열: 기본적인 지방, 밥, 국 구성은 동일하며, 여기에 각종 한과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2열: 홍어, 병어, 낙지, 꼬막 등 지역 특산물인 해산물 요리가 주를 이루며, 맛과 향이 독특한 전라도만의 매력을 보여줍니다.
    • 3열: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 외에도 전라도의 탕류는 간이 강한 편입니다.
    • 4열: 말린 포나물 외에도 다양한 나물류가 추가되며, 전 종류도 풍성하게 준비됩니다.
    • 5열: 과일, 과자 구성은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정렬되지만, 전라도에서는 과일의 색감과 배치에 더욱 신경을 쓰는 편입니다.

    전라도의 상차림은 화려하고 정교하며,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정성과 시간 투자가 돋보입니다.

    경상도 설날 상차림

    경상도 지역은 남성적이고 강한 풍미의 요리가 특징이며, 설날 차례상에도 이러한 특성이 반영됩니다.

    • 1열: 지방, 밥, 국 외에도 찹쌀떡 등 전통 떡류가 포함됩니다.
    • 2열: 돔배기(상어고기), 통문어 등 강렬한 맛의 해산물이 어동육서 원칙에 따라 배치됩니다.
    • 3열: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의 기본 구성이지만, 경상도 특유의 깊은 국물 맛이 돋보입니다.
    • 4열: 조기, 민어, 가자미 등 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나물과 포가 추가됩니다.
    • 5열: 과일, 과자도 충실히 준비하되, 경상도의 신선한 과일들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경상도 차례상은 맛이 강하고 남성적인 느낌의 음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제주도 설날 상차림

    제주도는 독특한 자연 환경과 해양 자원을 활용한 차례상을 올립니다.

    • 1열: 지방, 밥, 국 외에도 보리빵 등 독특한 지역 음식이 포함됩니다.
    • 2열: 전복, 귤, 옥돔 등 제주 특산물을 활용한 해산물이 차별화된 포인트입니다.
    • 3열: 생선탕, 두부탕 등 외에도 제주 지역 특유의 향토음식이 추가됩니다.
    • 4열: 나물, 포 외에도 제주 고유의 해조류나 전이 포함됩니다.
    • 5열: 대추, 밤, 배, 감 외에도 귤이 추가되어 제주도의 특색을 나타냅니다.

    제주도의 상차림은 신선한 해산물과 지역 특산물로 독특한 매력을 발산합니다.

     

    반응형